메뉴닫기
환영합니다
  • 소개
  • 뉴스

뉴스

[인터뷰] 8기, 권혁원·장경우 연구원 SCI 논문 게재 쾌거 - 장경우 연구원
이름
서울대학교 공학전문대학원
날짜
2025.01.17 03:01
조회수
332

8기, 권혁원·장경우 연구원 SCI 논문 게재 쾌거

 

서울대학교 공학전문대학원 8기 권혁원 연구원과 장경우 연구원이 졸업을 앞두고 연구 성과를 국제적으로 인정받아 SCI(Science Citation Index)급 저널에 논문을 게재하는 성과를 이루었습니다. 이들은 공학 연구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기며, 대학원생 연구원으로서의 가능성을 널리 입증했습니다.

 권혁원 연구원과 장경우 연구원은 서울대학교 공학전문대학원 전자트랙 소속으로,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이수연 교수님의 연구실에서 지도를 받은 학생들입니다. 권혁원 연구원은 OLED 디스플레이 화질 개선을 위한 광학 보정 모델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며, 제조 공정의 효율성과 품질을 향상하는 혁신적인 접근법을 제시했습니다. 장경우 연구원은 차세대 고성능 광센서 개발을 목표로 IGZO/ITON 이종구조 광트랜지스터를 연구하며, 상용화 가능성과 성능 향상 모두를 고려한 결과를 도출했습니다.

 두 연구원의 성과는 서울대학교 공학전문대학원의 연구 역량을 다시 한번 입증하며, 미래 첨단 기술 개발을 선도할 인재 양성의 산실임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Q. 안녕하세요. 장경우 연구원님, 졸업도 하시기 전에 "In-situ IGZO/ITON Heterostructure Phototransistor to Enhance Visible Light Detection.” 란 제목의 논문이 SCI에 게재된 것을 축하합니다. 이 논문이 게재된 소감에 대해서 말씀해 주세요.

A. 연구를 진행하며 매 평가마다 기대와 걱정이 많았고, 중간중간 어려운 상황도 있었지만, 잘 마무리되어 기쁜 마음입니다. 짧은 시간 동안 저널 투고, 개정 및 게재 과정을 직접 경험할 수 있어 뜻깊었으며, 어려운 상황마다 조언과 도움을 주신 지도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Q. 이 논문을 작성하게 된 계기가 무엇인지와 연구 과정에서 어려웠던 점이 있으시면 말씀해 주세요.

A. IGZO 반도체 관련 문헌들을 읽으면서, 센서 분야가 연구할 여지가 많다고 느꼈습니다. Lab일 내 인프라가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선행 논문들과의 차별화를 위해 여러 시도를 했고, 그중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과정 중 가장 어려웠던 점은 저널 투고 이후 개정 과정이었습니다. 측정된 현상에서 변곡점이 있었는데, 리뷰어가 왜 그런 결과가 나왔는지 분석을 통해 이유를 제시하라는 질문이었는데요. 사실 저도 측정 결과에서 그 부분이 가장 의아했었는데, 리뷰어가 그 점을 정확히 지적했었습니다. 확인을 위해 어떤 분석 장비를 사용해야 하고, 어떤 방식으로 접근해야 할지 막막했지만, 관련 문헌들을 많이 읽어 참고하고 차근차근 분석 진행하여 결국 합리적인 이유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

 

Q. 이 논문이 어떤 내용인지 관련 분야에 생소한 사람들에게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주세요.

A. 차세대 광센서 제작에 관한 연구입니다. 고성능 광센서는 인가된 빛에너지에 대해 효과적으로 광전류를 생성해야 하므로, 우수한 전기적 특성에 더해 더 넓은 파장대에서의 광반응성이 요구됩니다. 이를 위해 Indium-gallium-zinc-oxide (IGZO)라는 산화물 반도체를 기반으로 하고, 낮은 광반응성을 보완하기 위해 Indium-tin-oxynitride (ITON)를 활용하였습니다. IGZO/ITON 접합 구조를 통해 더 넓은 파장 영역에서 효율적으로 동작하는 고성능 광트랜지스터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Q. 이번 논문으로 얻을 수 있는 기대 효과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A. IGZO의 광반응성을 향상하기 위해 다양한 추가 물질들이 연구되어 왔으나, 대부분 상용화 관점에서의 단점이 있었습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물질/구조는 우수한 광감지 성능뿐만 아니라, 기존의 대면적 제조 공정과도 호환이 가능하여 상용화 측면에서도 큰 이점을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Q. 장경우 님의 연구 결과를 실제로 구현하기 위해서 어려운 점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A. 본 연구는 신규 물질/구조의 고성능 광센서로써 활용 가능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어려운 점이라기보다는, 실제 구현을 위해서는 해당 소자의 신뢰성과 다양한 환경에 강건성을 평가하는 후속 연구가 이어지면 좋을 것 같습니다.

 

Q. 이 기술이 실제 산업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고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서 말씀해 주세요.

A. 차세대 고성능 광센서가 필요한 모바일기기, 이미지 센서, 의료 및 군사 장비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기반 물질/구조로써 활용되기를 기대합니다.

 

Q. 앞으로 장경우 님의 연구 성과가 기대됩니다. 끝으로 향후 연구 계획을 말씀해 주세요.

A. 석사 과정 동안 제 연구에 대해 스스로 평가 계획과 전략을 세우는 습관이, 향후 현업에서의 개발 업무에도 많은 도움을 줄 것 같습니다. 현업에서도 지금과 마찬가지로 여러 문제 상황을 해결해 나가며 디스플레이 반도체 개발 업무를 수행하게 될 것 같습니다.

 

  • K. Jang, Y. Jang, S. An, and S-Y. Lee, “In-situ IGZO/ITON Heterostructure Phototransistor to Enhance Visible Light Detection,” IEEE Electron Device Letters, vol. 45, no. 10, pp. 1839–1842, Oct. 2024, doi: 10.1109/LED.2024.3448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