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닫기
환영합니다
  • 소개
  • 뉴스

뉴스

[인터뷰] 8기, 권혁원·장경우 연구원 SCI 논문 게재 쾌거 - 권혁원 연구원
이름
서울대학교 공학전문대학원
날짜
2025.01.17 03:01
조회수
367

8기, 권혁원·장경우 연구원 SCI 논문 게재 쾌거

 

서울대학교 공학전문대학원 8기 권혁원 연구원과 장경우 연구원이 졸업을 앞두고 연구 성과를 국제적으로 인정받아 SCI(Science Citation Index)급 저널에 논문을 게재하는 성과를 이루었습니다. 이들은 공학 연구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기며, 대학원생 연구원으로서의 가능성을 널리 입증했습니다.

 권혁원 연구원과 장경우 연구원은 서울대학교 공학전문대학원 전자트랙 소속으로,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이수연 교수님의 연구실에서 지도를 받은 학생들입니다. 권혁원 연구원은 OLED 디스플레이 화질 개선을 위한 광학 보정 모델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며, 제조 공정의 효율성과 품질을 향상하는 혁신적인 접근법을 제시했습니다. 장경우 연구원은 차세대 고성능 광센서 개발을 목표로 IGZO/ITON 이종구조 광트랜지스터를 연구하며, 상용화 가능성과 성능 향상 모두를 고려한 결과를 도출했습니다.

 두 연구원의 성과는 서울대학교 공학전문대학원의 연구 역량을 다시 한번 입증하며, 미래 첨단 기술 개발을 선도할 인재 양성의 산실임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Q. 안녕하세요. 권혁원 연구원님, 졸업도 하시기 전에 "A Mura Model-based Optical Compensa”란 제목의 논문이 SCI에 게재된 것을 축하합니다. 이 논문이 게재된 소감에 대해서 말씀해 주세요.

A. 저널에 최종 게재되었을 때, 그동안의 연구가 좋은 결과로 이어져 기쁘고 감사했습니다. 연구 과정은 기존의 실무와는 다른 깊이로 문제를 탐구하는 새로운 도전이었지만, 그만큼 배우는 것도 많았습니다. 무엇보다도 지도 교수님과 박사과정 학생들의 협력 덕분에 이룰 수 있었던 성과라고 생각하며, 이제는 현업으로 돌아가 연구 내용을 실제로 적용하고 발전시키는 데 주력하고 싶습니다. 이 논문이 OLED 디스플레이 화질 개선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Q. 이 논문을 작성하게 된 계기가 무엇인지와 연구 과정에서 어려웠던 점이 있으시면 말씀해 주세요.

A. 삼성디스플레이에서 업무를 하며 OLED 디스플레이에서 발생하는 얼룩 문제를 자주 접하게 되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더욱 효율적인 방법을 찾고자 학문적 접근을 시도해 보고 싶었고, 석사 과정을 통해 이를 연구하게 되었습니다. 연구 초기에는 문제의 본질을 깊이 이해하고, 이를 수치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모델을 설계하는 과정이 쉽지 않았습니다. 특히, 이론을 실험으로 검증하는 과정에서 많은 고민이 있었는데, 함께 연구하던 박사 과정 학생들과 교수님들의 조언과 경험이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도움 덕분에 조금씩 문제를 해결하며 연구를 완성할 수 있었습니다.

 

Q. 이 논문이 어떤 내용인지 관련 분야에 생소한 사람들에게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주세요.

A. OLED 디스플레이는 각 픽셀이 고유의 밝기를 내는데,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차이로 인해 화면이 균일하지 않게 보이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를 얼룩이라고 하는데, 기존에는 이를 보정하기 위해 여러 이미지를 촬영하고 데이터를 분석해야만 했습니다. 제가 연구한 방법은 단 두 장의 이미지만으로도 얼룩을 효과적으로 예측하고 보정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한 것입니다. 이 방법을 통해 시간을 크게 줄이면서도 화면의 균일도를 유지할 수 있어, 생산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Q. 이번 논문으로 얻을 수 있는 기대 효과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A. 이번 연구는 제조 공정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실제 OLED 디스플레이 생산에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단순한 과정으로도 높은 품질의 균일도를 유지할 수 있어 대량 생산 환경에서도 실용적입니다. 이 연구가 OLED 기술의 안정성과 품질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라며, 향후 다양한 제품군에서 폭넓게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Q. 권혁원 님의 연구 결과를 실제로 구현하기 위해서 어려운 점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A. 연구 과정에서 실제 OLED 패널에 적용해 성능을 검증했기 때문에 실질적인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제안한 방법은 기존 공정과 비교해 시간과 효율성 면에서 큰 개선을 보여, 제조 환경에서도 충분히 적용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물론, 대량 생산 환경에서 예상치 못한 변수들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한 추가적인 검증과 최적화 과정이 필요할 것입니다. 이러한 점들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며, 실제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Q. 이 기술이 실제 산업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고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서 말씀해 주세요.

A. 이번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은 OLED 디스플레이 제조 과정에서 효율성을 높이고 균일도를 개선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낮은 밝기 조건에서도 안정적인 보정이 가능해 스마트폰, 태블릿과 같은 소형 디스플레이뿐 아니라 초대형 TV나 상업용 디스플레이 생산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실험 결과, 기존 방식에 비해 처리 시간이 크게 단축되면서도 높은 품질을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이러한 기술적 발전은 제조 공정에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고, 최종 제품의 품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효과적일 것입니다.

 

Q. 앞으로 권혁원 님의 연구 성과가 기대됩니다. 끝으로 향후 연구 계획을 말씀해 주세요.

A. OLED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서 더 나은 효율과 품질을 실현하기 위해, 현업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기술로 정착시키는 것이 목표입니다. 또한, 현업에서 축적되는 데이터를 활용해 모델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새로운 공정 조건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방안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OLED 기술의 품질과 효율성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키는 데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서 가고 싶습니다.

 

H. Kwon, C. Park, K.-S. Kang, J.-H. Park, and S.-Y. Lee, “A mura model-based optical compensation for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luminance nonuniformity utilizing two image capturing,” Journal of the Society for Information Display.